수두 예방수칙 안내
1. 수두질병개요
|
구분
|
내용
|
|
정의
|
수두 바이러스(Human alphaherpesvirus 3) 감염에 의한 급성 발진성 감염병
|
|
방역이력
및
발생현황
|
법정감염병(제2급감염병)
∙국내에서 2005년 1월 수두를 국가필수예방접종으로 도입하여 12~15개월 영유아에게 접종을 권장하고, 7월에 제2군 감염병으로 지정하여 감시, 환자는 연중 발생하며 4월~7월, 11월~1월 유행하고, 대부분 15세 미만 연령에서 발생(만 3~5세 호발)
∙매년 전 세계에서 약 6천만 명의 수두 환자가 발생하며 이 중 90%는 소아에서 발생
|
|
병원체
|
∙수두-대상포진 바이러스(Human alphaherpesvirus 3)
- 피부 병변에 전염력이 있는 수두-대상포진 바이러스가 존재
|
|
감염경로
|
∙수두 환자의 수포액과 직접 접촉(피부 병변이 주요 감염 전파원)
∙수두 환자의 호흡기 분비물을 에어로졸로 흡입
∙급성 수두 또는 대상포진 환자의 피부병변 수포액을 에어로졸로 흡입
|
|
전염력
|
∙전염성이 매우 높음(수두 환자의 감수성 있는 가족 접촉자의 2차 발병률은 61~90%)
|
|
전염기
|
∙발진이 나타나기 1~2일 전부터 모든 병변이 가피가 형성될 때까지
|
|
잠복기
|
∙10~21일(평균 14~16일)
|
|
주요증상
및
임상경과
|
∙감수성 있는 사람이 감염되면 거의 대부분 발진이 나타남(무증상 감염은 드묾)
∙선천성 수두
- 임신 첫 20주 이내 임부의 원발성 수두 감염은 선천성수두증후군(사지형성부전, 피부반흔, 국소 근위축, 뇌염, 피질위축, 맥락망막염, 소두증, 저체중 등 신생아 기형)과 관련 있음 (기형 위험은 2% 미만)
∙후천성 수두
- 전구기: 발진 시작 1~2일 전부터 열감, 권태감이 나타남(소아는 발진이 첫 증상인 경우가 많음)
- 발진기: 발진은 보통 두피, 얼굴, 또는 몸통에 먼저 나타나고 사지로 퍼지는 양상이며, 수두 백신 미접종자는
발진이 전신화되고 가려움증이 있으며 반점(macules), 구진(papules), 수포(vesicles), 농포(pustules),
가피(crust) 순으로 병변이 24시간 이내에 빠르게 진행됨
- 회복기: 모든 병변에 가피가 형성되면서 회복함
|
|
합병증
|
∙발진 부위의 2차 세균감염, 폐렴, 뇌염, 라이 증후군 등
|
|
진단
|
∙검체(수포액, 가피, 구인두도말, 비인두도말, 혈액, 뇌척수액 등)에서 Human alphaherpesvirus 3 분리
∙회복기 혈청의 항체가가 급성기에 비하여 4배 이상 증가
∙검체(혈액)에서 특이 IgM 항체 검출
|
|
치료
|
∙합병증 없는 경우 대증치료, 중증화 위험이 있는 경우 항바이러스제로 치료
|
|
환자관리
|
∙환자관리: 표준주의, 공기주의, 접촉주의
- 학교, 유치원, 학원 등 집단발병 위험을 줄이기 위해 전염기 동안 격리(등교·등원 중지) 권장
- 수두에 걸린 예방접종을 받은 사람은 병변에 가피가 생기지 않을 수 있으며, 이 경우 24시간 동안 새로운
피부병변이 나타나지 않을 때까지 격리(등교·등원 중지 등 타인과 접촉 제한) 권장
∙접촉자 관리: 노출 후 예방요법*, 증상 발생 모니터링
* 노출 후 72시간 이내 수두 백신 접종(백신 금기인 경우는 10일 이내 면역글로불린 투여)
|
|
예방접종
|
∙소아: 생후 12~15개월에 수두 백신 1회 접종(만 13세 이상 미접종자는 4∼8주 간격 2회 접종)
∙성인: 4~8주 간격 2회 접종
|
2. 수두 3대 예방수칙
◇ 첫째, 예방접종은 감염 예방에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, 수두 및 MMR
(홍역‧유행성이하선염‧풍진) 접종 미완료자는 예방접종 완료
◇ 둘째, 자주 손씻기, 기침 예절 지키기, 씻지 않는 손으로 눈·코·입 만지지 않기, 의심증상 시 마스크 착용 등 개인위생 철저
◇ 셋째, 발열, 발진, 침샘이 부어오르는 등 감염 의심 증상‧징후가 있다면진료를 받고 감염력이 소실되는 시기*에 등교‧등원 재개
* 수두 : 모든 발진 병변의 가피(딱지) 형성(발진 시작 후 최소 5일) 이후
* 유행성이하선염: 증상 발현 5일 이후
3. 감염병 예방수칙
◇ 첫째, 기침이나 재채기를할 때는 손이 아닌휴지나 옷소매로 입과 코를 가리는 기침예절을 지키고, 비누를 사용하여 30초 이상 손을 자주 씻어주세요.
◇ 둘째, 감염병 의심증상이 발생한 경우 다른 사람과 접촉하지 않고 곧바로 가까운 의료기관에 방문하여 진료를 받으세요.
◇ 셋째, 집단유행을 막기 위해 감염 환자는 전염기간*동안에는 등원‧등교(학원 등사람이 많은 장소 포함)를 하지 않도록 하세요.
*등원‧등교중지기간: (수두)모든 수포에 딱지가 앉을 때까지 격리